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오라클
- From
- function
- Eclipse
- 오류
- variable
- 자바
- 자료형
- Java
- select
- 연산자
- 변수
- VisualStudioCode
- CSS
- 삐옥
- oracle
- Servlet
- 개발자
- 서블릿
- sqldeveloper
- Operator
- datatype
- error
- 이클립스
- JS
- 오라클오류
- SQL
- 에러
- HTML
- 코딩
- Today
- Total
뇨내
[JAVA - Eclipse] DataType : 자료형 1 본문
[ 자료형, Data Type ]
- 데이터의 형태
- 데이터의 길이(범위)와 생김새를 미리 정의하고 분류 해놓은 규칙 + 이름
- 기본형 / 참조형
값(Data)의 종류(Type)에는 크게 '문자와 숫자'로 나눌수 있고 숫자는 '정수와 실수'로 나눌 수 있다.
이런 값의 종류에 따라 값이 저장될 공간의 크기 + 저장형식 정의 = 자료형(Data Type) 이다.
> 자료형
- 정수형(byte, short, int, long)
- 문자형(char)
- 실수형(float, double) 등이 있다.
* 변수 선언시 저장하려는 값의 특성을 고려해 알맞은 자료형을 변수의 타입으로 선택한다.
> 프로그래밍의 자료형
1. 생김새
2. 크기
자료형에는 크게 '기본형' 과 '참조형' 2가지로 나뉜다.
> 자료형의 생김새
1) 10, 20, 33, 123, 456, 120324 = '정수'
2) 1.2, 3.141592, 3.1234, 1234.1234 = '실수'
3) 블로그, 노트북, 핸드폰... = '문자', '문자열'
이것들을 통틀어 자료형 이라고 함
Ex)
10 -> 정수, int
10000000000000 -> 정수, long 즉, 길이에 따라 많은 규칙을 만들어 놓음
이 -> char (캐릭터)
삐옥 -> String
> 자바 언어의 자료형(암기필수)
- boolean을 제외한 나머지 7개의 기본형은 서로 연산과 변환이 가능
- 일반적으로 int 多 이용 : CPU가 효율적 처리할 수 있는 타입
- 효율적 실행 < 메모리 절약 : byte, short 사용
- 각 자료형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(정수형) : -2^(n-1) ~ +2^(n-1)-1 이때, n = bit 수
양수값에 -1을 해주는이유는 자바에서는 byte라는 자료형은 8비트(8개의 칸이라고 치자)에서 1번째칸을 다른 용도로 쓰게 된다. 나머지 7개칸을 데이터 비트, 처음 한칸을 '부호 비트' 라고 부르는데 부호가 +/- 이냐를 지정하는 공간이다.
그래서 이 부호로 음수와 양수를 표기하게 되는데 그러면 '0'이라는 숫자가 남게된다. 이는 양수에서 할당해버리게 되어 양수부분에서만 -1을 하게되고 나머지 자료형도 이런 원리로 양수형에서만 -1을 뺀 숫자가 되게 된다. 또한 2^(bit수 -1)을 하게 되는 이유도 이에 있다.
'JAVA > DataTyp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 - Eclipse] DataType : 자료형 4 (0) | 2021.11.12 |
---|---|
[JAVA - Eclipse] DataType : 자료형 3 (0) | 2021.11.12 |
[JAVA - Eclipse] DataType : 자료형 2 (0) | 2021.11.12 |